인기
-
[Do it] 화면 정의서
1. 기획자는 화면정의서로 말한다 - SB/화면기획안/화면설계서 등으로 불린다. 화면정의서는 청사진이다. - 웹사이트의 기능과 정책 등을 모두 반영한 주요 산출물이다. - 기획자는 앞으로 발생할 모든 문제점을 미리 고민하여 대책을 세우고, 발생하는 경의 수를 예상하여 화면 정의서에 해결책을 담아야 한다. - 디자이너 퍼블리셔 개발자 모두가 이거만 보고 기획자의 역량을 파악한다. 기획에 뜻이 있다면 목숨걸고 만들어야 할 문서. 화면정의서는 작업지침서다. - 웹사이트의 모든 움직임을 상세히 담아야 한다. - 화면정의서는 소통의 문서이므로, 디자이너/퍼블리셔/개발자의 입장에서 고민하는 습관이 중요하다. - 한번 더 검토하기 : 본문의 설명은 오해가 없도록 명확히 작성하는 것이 중요하다. - 깔끔하게 작성하기 ..
2024.02.19
-
[Algorithm] 트리 자료형(Tree Data Structure)과 트리 순회
1. 트리자료형이란 ? - 계층적 자료구조. - Node들로 구성되며, Edge(간선)로 연결되어 있다. - 가장 상위에 있는 Node를 루트노드 라고 부르며, 각 노드는 0개 이상의 자식 노트를 가질 수 있다. - 트리에서 노드가 자식 노드를 가지지 않는 경우 그 노드를 리프(leaf)노드라고 부른다. 2. 트리 순회 - 트리의 노드를 시스테마틱한(체계적이고 조직적인) 방식으로 방문하는 과정. - 트리순회의 목표는 트리의 모든 노드를 효과적으로 방문하는 것이다. 1) 전위 순회 (Pre-order Traversal) : 전위 순회에서는 루트 노드를 먼저 방문한 후, 왼쪽 서브트리를 순회하고, 그 다음 오른쪽 서브트리를 순회한다. 루트 -> 왼쪽 -> 오른쪽 2) 중위 순회 (In-order Traver..
2023.04.03
-
[리액트 네이티브] 커스텀 컴포넌트 만들기와 활용
안녕하세요 여러분! 이번 포스팅에서는 리액트 네이티브에서 커스텀 컴포넌트를 만들어 사용하는 방법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리액트 네이티브에서 제공하는 기본 컴포넌트 외에도 사용자가 직접 만든 컴포넌트를 사용하여 애플리케이션의 디자인과 기능을 확장할 수 있습니다. 이 글에서는 간단한 예제를 통해 커스텀 컴포넌트를 만들고 사용하는 방법을 설명할 것입니다. 커스텀 컴포넌트란? 커스텀 컴포넌트는 개발자가 직접 만든 재사용 가능한 리액트 네이티브 컴포넌트입니다. 기본적으로 제공되는 컴포넌트만으로는 충분하지 않거나 특정한 기능이 필요한 경우에 커스텀 컴포넌트를 만들어 사용할 수 있습니다. 커스텀 컴포넌트를 사용하면 코드의 재사용성을 높일 수 있으며, 애플리케이션의 구조와 디자인을 효율적으로 관리할 수 있습니다. 간단..
2023.03.20
-
[Lv.2] 피보나치 수 (오버플로우 현상)
1. 문제 피보나치 수는 F(0) = 0, F(1) = 1일 때, 1 이상의 n에 대하여 F(n) = F(n-1) + F(n-2) 가 적용되는 수 입니다. 예를들어 F(2) = F(0) + F(1) = 0 + 1 = 1 F(3) = F(1) + F(2) = 1 + 1 = 2 F(4) = F(2) + F(3) = 1 + 2 = 3 F(5) = F(3) + F(4) = 2 + 3 = 5 와 같이 이어집니다. 2 이상의 n이 입력되었을 때, n번째 피보나치 수를 1234567으로 나눈 나머지를 리턴하는 함수, solution을 완성해 주세요. 제한 사항 n은 2 이상 100,000 이하인 자연수입니다. 입출력 예 3 2 5 5 입출력 예 설명 피보나치수는 0번째부터 0, 1, 1, 2, 3, 5, ... 와 ..
2023.02.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