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ackend - Java Spring87 [Co_App] Spring Basic 복습 - Pagination ~ JPA (완) 1. Pagination- 1~5 번 게시물만 보여주기 해보자 - Repository 인터페이스에 다음과 같이 메서드 생성 - 가져다 사용할때는 PageRequest를 사용한다.- items 를 이미 list.html에 바인딩 해놓았으므로 result를 보내면 알아서 반복문을 돌면서 렌더링한다. - 동적으로 변경하기 2. Azure Storage 이용하기 (Azure Blob)- 별도의 강의가 없으므로 따로 공부해서 아라보자- 이것도 단순한 Copilot 예시코드일 뿐이다.3. Comment 기능- 각 상품에 대한 댓글 기능을 구현한다. - Controller - Comment Entity - Service - Repository - Thymeleaf - 별거 없다. 4. 검색 기능- title 에서 .. 2024. 9. 8. [Co_App] Spring Basic 복습 - Auth 1. Spring Security- 복붙을 통해 session/jwt 구현할 수 있다. 2. Spring Security - Thymeleaf 구현 절차- SecurityConfig.java 생성- FilterChain : 모든 유저의 요청과 서버의 응답 사이에 자동으로 실행해주고 싶은 코드를 담는 곳- authorize.requestMatchers() : 로그인 검사 여부를 설정한다. (permitAll()을 붙이면 모두 허용)- 참고) JWT 는 headers 에 직접 넣어서 보내면 CSRF 예방 가능 3. Bean 등록 4. Spring Security를 활용한 로그인 기능- 로그인 페이지 만들기- /login , POST, username, password 이런 Attribute 고정으로 맞춰야 .. 2024. 9. 1. [Co_App] Spring Basic 복습 1. Controller 2. 타임리프 설치하면- 엔진때문에 static이 아닌 template에서 찾는다.3. ThymeLeaf MVC 문법 3. JPA- build.gradle - application.properties - Entity - Repository 만들기 - repository 가져다가 사용하기 4. Thymeleaf- thymeleaf 반복문 th:each 5. post - Map 자료형 - @ModelAttribute 이런 것도 있음 - thymeleaf의 Fragment 문법(컴포넌트) - thymeleaf Fragment 문법 가져다쓰기 6. Detail페이지- ifPresent, Lambda를 통해 깔끔하게 작성 가능- Optional 사용해도 됨- item.isPresent(.. 2024. 8. 29. [SpringCore 핵심원리] 웹스코프 1. 웹스코프 - 웹 환경에서만 동작 - 프로토타입과 다르게 스코프의 종료시점까지 스프링이 관리한다. (종료메서드 호출 됨) - request : HTTP요청 하나가 들어오고 나갈때까지 유지되는 스코프 : 각각의 요청마다 별도의 빈 인스턴스가 생성되고 관리된다. - session : HTTP Session과 동일한 생명주기를 가지는 스코프 - application : 서블릿 컨텍스트와 동일한 생명주기를 가지는 스코프 - websocket : 웹소켓과 동일한 생명주기를 가지는 스코프 2. request 스코프의 예제 - Controller - MyLogger에 저장하는 부분은 컨트롤러가 아닌 공통처리가 가능한 스프링 인터셉터, 서블릿 필터를 활용하는 것이 좋다. - 웹과 관련된 정보는 서비스 계층에 넘어가.. 2024. 2. 18. [SpringCore 핵심원리] Bean 스코프 1. 빈 스코프란 ? - 스코프 : 빈이 존재할 수 있는 범위 - 싱글톤 스코프 : 기본 스코프, 스프링 컨테이너의 시작과 종료까지 유지되는 가장 넓은 범위의 스코프 - 프로토타입 스코프 : 스프링컨테이너는 프로토타입 빈의 생성과 의존관계 주입까지만 관여하고 더는 관리하지 않음(초기화메서드까지만 함, 종료메서드가 호출이 안됨) - 웹 관련 스코프 : request : 요청이 들어오고 나갈 때까지 유지되는 스코프 : session : 웹 세션이 생성되고 종료될 때 까지 유지되는 스코프 : application : 웹 서블릿 컨텍스트와 같은 범위로 유지되는 스코프 2. 빈스코프의 등록 - @Scope("prototype") 이렇게 하면됨 - 프로토타입 스코프를 스프링컨테이너에 조회하면 스프링컨테이너는 항상 .. 2024. 2. 18. [SpringCore 핵심원리] 빈 생명주기 콜백 1. 빈 생명주기 콜백 - 데이터베이스 커넥션 풀이나 네트워크 소켓처럼 앱 시작 시점에 필요한 연결을 미리 해두고, 앱 종료 시점에 연결을 모두 종료하는 작업을 진행하려면, 객체의 초기화와 종료 작업이 필요하다. - 스프링 빈은 객체 생성 -> 의존관계 주입의 라이프사이클을 가진다. (생성자 주입은 예외) - 초기화작업은 의존관계 주입이 모두 완료되고 난 다음에 호출해야 한다. - 개발자가 의존관계 주입이 완료된 시점을 알기 위해서는 ? - 스프링은 의존관계 주입이 완료되면 스프링 빈에게 콜백 메서드를 통해 초기화 시점을 알려주는 기능을 제공한다. - 소멸 콜백도 준다. - 스프링컨테이너 생성 -> 스프링빈 생성 -> 의존관계주입(setter, 필드주입) -> 초기화 콜백 -> 사용 -> 소멸전 콜백 -.. 2024. 2. 17. [SpringCore 핵심원리] List, Map 1. 여러개의 빈이 모두 필요할 때 List, Map 을 이용한 DI 방법 - 알아서 주입을 받아서 Strategy Pattern 을 구현할 수 있다. - 동적으로 빈을 선택해야할 경우 이렇게 다형성 코드를 유지하면서 사용이 가능하다. - 직접 테스트를 해보면 2. 자동DI 와 수동DI의 실무 운영 기준 - 자동기능 기본으로 쓰셈 - 수동 빈 등록은 언제 사용하면 좋을까 ? : 기술지원 빈 (AOP) 을 처리할 때 주로 사용된다. DB연결이나 공통 로그처리 등 하부 기술이나 공통기술 같은 것 : 업무로직에서 애너테이션을 가끔 수정할 때가 있기는 한데, 기본적으로 자동기능 쓰세요 : 기술지원 로직들은 수동 빈 등록을 사용해서 명확하게 설정에 드러내는 것이 좋다. : 비즈니스 로직 중에서 다형성을 적극 활용.. 2024. 2. 17. [SpringCore 핵심원리] 애너테이션 1. 애너테이션 직접 만들기(실무에서 씀) - 애너테이션에는 상속의 개념이 없다. - 애너테이션을 모아서 사용하는 기능은 스프링이 하는거임 - 다른 것들도 다 조합해서 사용할 수 있다. Qualifier 쓸때는 재 정의하는 거 괜찮은 것 같다. - 애너테이션 만들기 - 사용하기 - 파라미터에도 적용 가능 - 이렇게 하면 Qualifier 애너테이션이 알아서 작동한다. 2024. 2. 17. 이전 1 2 3 4 ··· 11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