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Backend - Java Spring97

[JPA] 실습 1. 객체와 Table 매핑 - application.properties - Member(엔티티) : @Column의 옵션 name으로 이름을 지정해줄 수 있다. - resources/data.sql - h2.console - 세팅완료! 2. 상세 - @Entity : 이 클래스를 테이블과 매핑한다고 JPA에게 알려준다. (이를 엔티티 클래스라고 한다.) - @Table : 엔티티클래스에 매핑할 테이블 정보를 알려준다. 생략하면 클래스 이름을 테이블 이름으로 매핑한다. - @Id : PK에 해당한다. 식별자 필드라고 한다. - @Column : 컬럼에 매핑한다. 생략이 가능하다. 생략하면 필드명이 컬럼명이 된다. - 대소문자를 구분하지 않는 DB를 사용하면 명시적으로 매핑해야 한다. persistence.. 2024. 2. 21.
[JPA] JPA 1. JPA - JAVA 진영의 ORM 표준 - SQL이 아닌 객체중심의 코드로 개발이 가능 - DB를 변경하기가 쉬워짐 2. SQL을 직접 다룰 때 발생하는 문제 - JDBC API를 사용해서 SQL을 DB에 전달하는데, 반복이 너무 많음 - SQL과 JDBC API를 DAO로 만들어 코드 내에 많이 작성해야함 - 뭐 하나 추가되면 DAO내의 SQL을 다 확인하고 수정해야함 - 객체가 사용할 수 있을지 없을지는 사용하는 SQL에 달려있다. - SQL에 의존적이 되는 상황에서는 엔티티를 신뢰할 수 없다. 3. JPA와 문제 해결 - jpa.persist(member); : persist() 를 통해 객체를 DB에 저장한다. - JPA가 객체와 매핑정보를 보고 적절한 INSERT SQL을 생성해서 DB에 .. 2024. 2. 21.
[SpringBoot와 JPA] 시작 - spring.io 의 가이드 잘 활용하자. 1. MVC - thymeleaf - template/{viewName}.html - modal.addAttribute("data", data); - 라이브러리 중에 devtools 가 있음 이거 넣고 바꾼 뷰 파일만 리컴파일하면 됨 - 근데 난 안됨 2. 요구사항 분석 - 회원 기능 / 상품 기능 / 주문 기능 - 회원기능 : 등록과 조회 - 상품기능 : 등록 수정 조회 - 주문기능 : 주문 내역조회 취소 - 기타요구사항 : 상품의 재고 관리가 필요하다. 상품의 종류/카테고리로 구분이 가능하다. 3. 모델링 도메인 모델과 테이블 설계 - 와 개 신세계다 - dbdiagram 개 좋다 - 장점 : 코드로 Entity 분석과 ERD 까지 한번에 그릴 수 있다.. 2024. 2. 21.
[SpringCore 핵심원리] 웹스코프 1. 웹스코프 - 웹 환경에서만 동작 - 프로토타입과 다르게 스코프의 종료시점까지 스프링이 관리한다. (종료메서드 호출 됨) - request : HTTP요청 하나가 들어오고 나갈때까지 유지되는 스코프 : 각각의 요청마다 별도의 빈 인스턴스가 생성되고 관리된다. - session : HTTP Session과 동일한 생명주기를 가지는 스코프 - application : 서블릿 컨텍스트와 동일한 생명주기를 가지는 스코프 - websocket : 웹소켓과 동일한 생명주기를 가지는 스코프 2. request 스코프의 예제 - Controller - MyLogger에 저장하는 부분은 컨트롤러가 아닌 공통처리가 가능한 스프링 인터셉터, 서블릿 필터를 활용하는 것이 좋다. - 웹과 관련된 정보는 서비스 계층에 넘어가.. 2024. 2. 18.
[SpringCore 핵심원리] Bean 스코프 1. 빈 스코프란 ? - 스코프 : 빈이 존재할 수 있는 범위 - 싱글톤 스코프 : 기본 스코프, 스프링 컨테이너의 시작과 종료까지 유지되는 가장 넓은 범위의 스코프 - 프로토타입 스코프 : 스프링컨테이너는 프로토타입 빈의 생성과 의존관계 주입까지만 관여하고 더는 관리하지 않음(초기화메서드까지만 함, 종료메서드가 호출이 안됨) - 웹 관련 스코프 : request : 요청이 들어오고 나갈 때까지 유지되는 스코프 : session : 웹 세션이 생성되고 종료될 때 까지 유지되는 스코프 : application : 웹 서블릿 컨텍스트와 같은 범위로 유지되는 스코프 2. 빈스코프의 등록 - @Scope("prototype") 이렇게 하면됨 - 프로토타입 스코프를 스프링컨테이너에 조회하면 스프링컨테이너는 항상 .. 2024. 2. 18.
[SpringCore 핵심원리] 빈 생명주기 콜백 1. 빈 생명주기 콜백 - 데이터베이스 커넥션 풀이나 네트워크 소켓처럼 앱 시작 시점에 필요한 연결을 미리 해두고, 앱 종료 시점에 연결을 모두 종료하는 작업을 진행하려면, 객체의 초기화와 종료 작업이 필요하다. - 스프링 빈은 객체 생성 -> 의존관계 주입의 라이프사이클을 가진다. (생성자 주입은 예외) - 초기화작업은 의존관계 주입이 모두 완료되고 난 다음에 호출해야 한다. - 개발자가 의존관계 주입이 완료된 시점을 알기 위해서는 ? - 스프링은 의존관계 주입이 완료되면 스프링 빈에게 콜백 메서드를 통해 초기화 시점을 알려주는 기능을 제공한다. - 소멸 콜백도 준다. - 스프링컨테이너 생성 -> 스프링빈 생성 -> 의존관계주입(setter, 필드주입) -> 초기화 콜백 -> 사용 -> 소멸전 콜백 -.. 2024. 2. 17.
[SpringCore 핵심원리] List, Map 1. 여러개의 빈이 모두 필요할 때 List, Map 을 이용한 DI 방법 - 알아서 주입을 받아서 Strategy Pattern 을 구현할 수 있다. - 동적으로 빈을 선택해야할 경우 이렇게 다형성 코드를 유지하면서 사용이 가능하다. - 직접 테스트를 해보면 2. 자동DI 와 수동DI의 실무 운영 기준 - 자동기능 기본으로 쓰셈 - 수동 빈 등록은 언제 사용하면 좋을까 ? : 기술지원 빈 (AOP) 을 처리할 때 주로 사용된다. DB연결이나 공통 로그처리 등 하부 기술이나 공통기술 같은 것 : 업무로직에서 애너테이션을 가끔 수정할 때가 있기는 한데, 기본적으로 자동기능 쓰세요 : 기술지원 로직들은 수동 빈 등록을 사용해서 명확하게 설정에 드러내는 것이 좋다. : 비즈니스 로직 중에서 다형성을 적극 활용.. 2024. 2. 17.
[SpringCore 핵심원리] 애너테이션 1. 애너테이션 직접 만들기(실무에서 씀) - 애너테이션에는 상속의 개념이 없다. - 애너테이션을 모아서 사용하는 기능은 스프링이 하는거임 - 다른 것들도 다 조합해서 사용할 수 있다. Qualifier 쓸때는 재 정의하는 거 괜찮은 것 같다. - 애너테이션 만들기 - 사용하기 - 파라미터에도 적용 가능 - 이렇게 하면 Qualifier 애너테이션이 알아서 작동한다. 2024. 2. 1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