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ackend - Java Spring87 [JAVA얄코] Boolean 자료형 1. Boolean 자료형 - 1바이트 공간 차지함 - 리터럴보다는 반환값으로 주로 사용됨 2. 단축평가 - && : 앞의 것이 false 면 뒤의 것을 평가할 필요 없음 - || : 앞의 것이 true 면 뒤의 것을 평가할 필요 없음 - 연산 부하가 적은 코드를 앞에 둔다. 3. 삼항 연산자 2023. 10. 7. [JAVA얄코] 문자 자료형 1. char : 문자 자료형 - 2바이트 사용 - 각 문자는 상용하는 정수를 가짐 (유니코드) - 연산 가능 (정수취급) - 숫자와 char 비교 시 문자가 해당하는 정수값을 기준으로 비교하게 된다. 2. 문자가 의미하는 정수로 변환하는 꼼수 2023. 10. 7. [JAVA얄코] 실수 자료형들 1. 소수점 뒤로도 표현이 가능한 실수 자료형 - 0.1 + 0.2 != 0.3 - 부동소수점 문제가 생긴다. - 값을 담는 메커니즘이 정수와 다르기 때문. - double은 float보다 정밀하게 표현이 가능하다. - float 은 f 혹은 F를 맨 뒤에 붙여서 표현 2. 형변환 관련 - float과 double의 연산은 double 변환 - float과 float의 연산은 float 변환 - 소수부가 2의 거듭제곱인 순자간의 연산에는 오차가 없다. - 리터럴로 작성 시 double임을 명시하려면 .0을 붙여야한다 2023. 10. 7. [JAVA얄코] 정수 자료형과 연산자 1. 정수 자료형 정리 2. 큰 자료형에 작은 자료를 넣으면 묵시적 형변환 3. 작은 자료형에 큰 자료를 넣으면 에러 (조치 필요) 4. int의 범위를 벗어나는 수에는 리터럴에도 명시 필요 (L을 붙여야 한다.) 5. 형변환 (Casting) - 괄호를 추가해서 명시적(강제적) 형변환이 가능하다. 6. 이항 연산자 - byte와 short의 연산들은 int를 반환! - byte와 short 안쓴다 거의 - int 에 나눗셈 같은거 넣으면 정수 아래 걍 버려버림 7. 복합 대입 연산자 8. 비교연산자 2023. 10. 7. [JAVA얄코] 자료형과 변수 1. 참/거짓 (boolean) - true , false 2. 숫자 - int 정수 - double 소수까지 3. 문자 (하나의 문자) - char 글자1 4. 문자열 - string 여러글잠 5. BreakPoint (빨간점) 찍어놓고 디버그 누르면 변수 잘나온다 6. final 붙이면 변수의 값을 바꿀 수 없게 됨 (상수) 7. 국룰 - 클래스는 대문자로 시작 - packages는 소문자로 시작 - 상수는 대문자와 _ 사용 - 변수나 메서드는 카멜케이스로 8. 예약어 - instanceof , new, double, class 등 예약어는 사용 불가능 2023. 10. 7. [JAVA얄코] Java 시작 1. JAVA 기본 개념 - 컴파일러 언어 (별도의 컴파일 작업 필요) - JVM : Java Virtual Machine - 기기에 따라 번역하는놈 - JRE : Java Runtime Environment - 기본 라이브러리 가이드북 - JDK : Java Development Kit - 전 과정을 도와주는 자바 코드 제작 키트 ( 다있음 ) 2. IntelliJ 설치 -> JDK 설치(LTS) -> IntelliJ 플러그인 설치 세팅 - 갓텔리제이 그냥 맥으로 개발할거라면 React Node Express Vue 다 지원하는 얼티밋 사자 - 난 월 2만원 안아깝다.. - Copilot ChatGPT IntelliJ 얼티밋 세가지 조합이면 월 8만원 내외정도? 로 업무시간을 엄청나게 많이 아낄 수 있.. 2023. 10. 7. [JAVA] Null과 가비지 컬렉션의 원리 1. Null Java에서 null은 어떤 참조 변수가 아무런 객체도 가리키지 않음을 나타냅니다. 즉, null은 "참조 없음"을 의미합니다. 이것은 참조 변수가 메모리의 어떤 위치도 가리키지 않게 하기 위한 특별한 값입니다. Object obj = null; 위의 코드에서 obj는 null로 초기화되었으므로 아무런 객체도 가리키지 않습니다. 이렇게 되면 obj를 통해 객체의 메소드를 호출하거나 멤버 변수에 접근하려고 시도하면 NullPointerException이 발생합니다. 2. 가비지컬렉션 Java에서는 가비지 컬렉터라는 시스템이 동작하여 더 이상 사용되지 않는 메모리를 자동으로 회수합니다. 이를 가비지 컬렉션(garbage collection)이라고 합니다. 가비지 컬렉션의 원리를 이해하기 위해서.. 2023. 6. 7. 이전 1 ··· 8 9 10 11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