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리액트 시작8

React - 14장 : 비동기작업 처리와 Axios 패턴을 이용한 예제 프로젝트 React - 1장 : React 이해 React - 2장 : JSX React - 3장 : 컴포넌트 React - 4장 : 이벤트 핸들링 React - 5장 : ref. DOM에 이름 달기 React - 6장 : 컴포넌트 반복 React - 7장 : 컴포넌트의 LifeCycle React - 8장 : React Hooks 총정리 React - 9장 : 컴포넌트의 스타일링 React - 10장 : 빠르게 TODO앱 실습 React - 11장 : 컴포넌트 성능 최적화 React - 12장 : immer를 사용하여 더 쉽게 불변성 유지하기 React - 13장 : 리액트 라우터로 SPA 개발하기 React - 14장 : 뉴스 뷰어 예제프로젝트(현재) 오늘의 예제 실습 순서 비동기작업의 이해 -> axios로.. 2023. 2. 22.
React - 12장 : Immer 라이브러리를 사용하여 불변성 유지 React - 1장 : React 이해 React - 2장 : JSX React - 3장 : 컴포넌트 React - 4장 : 이벤트 핸들링 React - 5장 : ref. DOM에 이름 달기 React - 6장 : 컴포넌트 반복 React - 7장 : 컴포넌트의 LifeCycle React - 8장 : React Hooks 총정리 React - 9장 : 컴포넌트의 스타일링 React - 10장 : 빠르게 TODO앱 실습 React - 11장 : 컴포넌트 성능 최적화 React - 12장 : Immer 라이브러리를 사용하여 불변성 유지(현재) 객체가 복잡해지고 깊어지면 불변성을 유지하며 업데이트가 힘들어진다. immer 라는 라이브러리를 사용하면 복잡한 객체도 쉽고 짧은 코드로 불변성을 유지하면서 업데이트.. 2023. 2. 20.
React - 7장 : 컴포넌트의 Lifecycle Method React - 1장 : React 이해 React - 2장 : JSX React - 3장 : 컴포넌트 React - 4장 : 이벤트 핸들링 React - 5장 : ref. DOM에 이름 달기 React - 6장 : 컴포넌트 반복 해당 포스팅은 23년 기준 지금은 잘 사용하지 않는 class형 Component의 라이프사이클에 대해서 설명하고 있다. 현재에는 함수형 Component를 주로 사용한다. 참고로만 알아두자. 7-1. 라이프사이클 메서드의 이해 - 모든 리액트 컴포넌트에는 라이프사이클이 존재하며, 렌더링 되기 전 준비과정에서 시작하여 페이지에서 사라질 때 끝난다. - 라이프사이클 메서드는 class형 컴포넌트에만 사용할 수 있다. - 총 세 가지 [마운트, 업데이트, 언마운트] 의 카테고리로 나.. 2023. 2. 14.
React - 5장 : ref. DOM에 이름 달기 - 일반 HTML에서 DOM 요소에 이름을 달 때는 id를 사용한다. - 요소에 id를 달면 css에서 특정 스타일을 적용하거나 자바스크립트로 해당 요소에 작업을 할 수 있다. 5-1. ref(reference) - HTML에서 id를 사용하여 DOM에 이름을 다는 것처럼 리액트 프로젝트 내부에서 DOM에 이름을 다는 방법이 있다. - 리액트 컴포넌트에 id를 사용하는 것은 권장하지 않는다. - 컴포넌트는 여러 번 사용할 수 있는데 id는 유니크한 값이기 때문에 잘못된 사용이 될 수 있다. - ref는 전역적으로 작동하지 않고 컴포넌트 내부에서만 작동하기 떄문에 문제가 발생하지 않는다. 1) ref는 어떤 상황에서 사용해야 할까? - DOM을 꼭 직접적으로 건드려야 할 때 사용한다. - 특정 input에.. 2023. 2. 9.
React - 4장 : 이벤트 핸들링 4-1. 리액트의 이벤트 시스템 1) 이벤트를 사용할 때 주의 사항 - 이벤트 이름은 카멜 표기법으로 작성한다. - ex) onclick(x) -> onClick - 이벤트에 실행할 자바스크립트 코드를 전달하는 것이 아니라, 함수 형태의 값을 전달한다. - DOM 요소에만 이벤트를 설정할 수 있다. - 직접 만든 컴포넌트에는 이벤트를 자체적으로 설정할 수 없다. 4-2. 예제로 이벤트 핸들링 익히기 1) onChange 이벤트 - onChange 이벤트는 Form 요소에 값이 변하면 발생하는 이벤트이다. - onChange 함수안에 e 객체는 SyntheticEvent, 웹 브라우저의 네이티브 이벤트를 감싸는 객체이다. - 이벤트가 끝나고 나면 초기화되므로 정보를 참조할 수 없다. - 만약 비동기적으로 .. 2023. 2. 8.
React - 3장 : 컴포넌트 3-1. 컴포넌트를 선언하는 방식 - 컴포넌트를 선언하는 방식은 크게 두가지이고 클래스형과 함수형이 있다. 1) 클래스형 컴포넌트 - 클래스형 컴포넌트에서는 render 함수가 꼭 있어야 하고, 그 안에서 보여주어야 할 JSX를 반환해야 한다. - state와 라이프사이클 API 사용이 가능하다. - 임의 메서드를 정의가 가능하다. import React, { Component } from 'react'; class App extends Component { render() { const name = 'react'; return {name}; } } export default App; 2) 함수형 컴포넌트 - 클래스형 컴포넌트보다 선언하기가 훨씬 편하다. - 메모리 자원도 클래스형 컴포넌트보다 덜 사용한.. 2023. 2. 6.
React - 2장 : JSX 2-1. JSX란? - JSX는 자바스크립트의 확장 문법이며 XML과 매우 비슷하게 구성되어있다. - 브라우저에서 실행되기 전에 번들링 되는 과정에서 바벨을 사용해 일반 자바스크립트 형태의 코드로 변환된다. 2-2. JSX의 장점 1) 보기 쉽고 익숙하다 - 아래 두 코드는 JSX 코드와 일반 자바스크립트 코드로 변환된 코드이다. - 단순히 비교만 해봤을때에도 JSX코드가 가독성이 높고 작성하기도 쉽게 느껴진다. function App() { return ( Hello react ); } function App() { return React.createElement("div", null, "Hello ", React.createElement("b", null, "react")); } 2) 더욱 높은 활용.. 2023. 2. 2.
React - 1장 : React 이해 앞으로 포스팅할 React 빠르게 복습하기 내용은 React를 익힌지 오래되었거나, 공부를 한 두번 해봤는데 맥락을 이해하기 어렵거나, 이해는 했는데 자주 잊어버리는 경우 훑어보면서 빠르게 복습할 수 있도록 간결화하여 포스팅합니다. 1-1. 리액트를 왜 쓰는가 1) React Library - 많은 프레임워크들이 순수한 자바스크립트만으로 다양한 어플리케이션을 편하게 관리하려고 노력해왔다. - React.js, Vue.js, Angular.js, Backbone.js, Ember.js 등등 - 이들은 주로 MVC(Model-View-Controller)패턴, MVVM(Model-View-View Model)패턴을 사용한다. - Model : 어플리케이션에서 사용하는 데이터/구조를 관리하는 영역 - View.. 2023. 2. 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