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더이상 하지 않는 망한 프로젝트/React Native3

[리액트 네이티브] 세팅지옥에서 드디어 돌아왔다. 1. 세팅 핵심은 brew - ruby버전 - 환경변수세팅 - cocoaPods 설치 - pod install 2. 세팅 이후 작업은 xCode -> ios폴더 열기 -> Simulator 가상머신 세팅 -> run 누르기 3. 코드 작업은 vsCode로 따로 열어서 저장하면 알아서 업데이트 된다. 4. 문제는 flutter sdk 설치로 인해 꼬였던 점이 문제였었고, 환경변수를 모두 지워야했다. 5. 결론적으로 mac 을 모두 재설치해서 처음부터 세팅하니 성공 2023. 3. 20.
[리액트 네이티브] zsh: command not found: brew 해결 1. 설치하기 /bin/bash -c "$(curl -fsSL https://raw.githubusercontent.com/Homebrew/install/HEAD/install.sh)" 만약 Homebrew가 이미 설치되어 있지만 여전히 문제가 발생한다면, 시스템의 PATH에 Homebrew 경로를 추가해야 합니다. 일반적으로 Homebrew는 /usr/local/bin 또는 /opt/homebrew/bin 경로에 설치됩니다. 이 경로 중 하나를 시스템의 PATH에 추가해야 합니다. 2. ~/.zshrc 파일을 열거나 존재하지 않으면 생성하세요: open -e ~/.zshrc 3. 파일의 맨 아래에 다음 두 줄을 추가하세요 (Homebrew가 설치된 경로에 맞게 변경해야 할 수도 있습니다): export.. 2023. 3. 20.
React Native 1장 : 걸음마 회사에서 갑작스럽게 리액트 네이티브 프로젝트에 지원투입이 확정되었다. MERN MEVN Flutter 이런 스택은 해봤는데 리액트 네이티브는 처음이다. 시간이 좀 남았으니 빠르게 익혀보고 간단한 프로젝트를 만들어봐야겠다. 자바스크립트와 리액트 기초문법에 대한 이해가 없다면 앞으로 지속되는 포스팅을 따라오지 못한다. 선행학습 하고오자. 그리고 크로스플랫폼 혹은 ios 앱 개발을 고려한다면 맘편하게 그냥 Mac 사라. MacOS 환경 이외에는 빌드 자체가 안된다. 필자도 2010년부터 삼엽충이었는데 Flutter 배우고 개발하면서 애플생태계로 모든 것을 싹 다 바꿨다. 물론 만족은 못함. 삼성이 서드파티도 그렇고 기본 기능도 더 많고 자유도도 훨씬 높음. 삼성이 애플 연동성 못따라간다는 건 옛말이다. 어쨌든.. 2023. 3. 15.